주식

irp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대일이야 2024. 6. 7. 22:38
반응형

 

 

irp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irp 세액공제 한도는 900만원 입니다. 1년 납입금 중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최대 900만원 환급이라는 의미는 아니며, irp에 900만원을 납입하면 약 15%, 135만원 내외의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 연봉 및 납부한 세금에 따라 환급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연금저축펀드와 납입한도 및 세액공제 한도를 공유하기에 연금저축펀드도 운용해나가고 있다면 연금저축펀드에 납입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irp에서 세액공제 적용되는 것이구요. 

 

반응형

irp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irp를 운용해나가고 있다. irp를 운용해나가는 이유는 간단하다, 투자와 함께 절세효과를 누리기 위해. irp에 900만원을 납입하면 15% 내외, 약 135만원 내외의 금액을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을 수 있다. 누군가는 돌려받을 수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추가 납부해야하는 금액에서 차감되겠다만 아무쪼록 요지는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

왜 이러한 혜택을 주나요? 라고 물으신다면 여러분들 스스로 노후대비하라고 이러한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우는 것. 5% 넘어가는 예적금에 오픈런하고 사이트 마비되는 현상이 심심치 않게 보여주는데 15% 내외의 수익률을 그저 입금만으로 제시한다? 이런 상품이 없을 듯 싶지만 그리 호락호락하지만은 않다.

irp 단점을 꼽자면 단연 돈이 묶인다는 것, irp에 납입해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은 금액의 경우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만 수령이 가능하다, 내가 세액공제 혜택 받은 입금액 뿐만 아니라 계좌 내에서 발생한 매매 수익금과 배당금 등 모든 금액을 내 마음대로 인출할 수 없음. 왜? 라고 묻는다면 이러한 족쇄가 달려있으니 15%라는 엄청난 수익률을 제시하는 것, 뭐든 좋은 것만 취할 수는 없는 법이니까.

 

irp 연말정산

 

irp의 경우 세액공제 혜택 이외에 추가로 투자수익까지 노려볼 수 있다. 근래에 유행하는 미국 ETF, S&P500과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할 수 있고, 혹은 배당주에 투자할 수도 있고, 채권이나 예금도 가능하다. 꼭 투자를 해야하는건 아니니까 너무 부담가질 필요는 없다. 예금으로 최소한의 이자만 받아가며 세액공제 혜택만 따박따박 받아도 15% 수익이 확정인데 뭐 아쉬울 것 있나.

아무쪼록 나는 연금저축펀드에 400만원, irp에 300만원, 도합 700만원을 퇴직연금에 납입하고 있으며 연금저축펀드에선 나스닥100 ETF, irp에서는 배당주에 투자를 해나가고 있다. 이게 옳은 선택인지는 모르겠지만 뭐, 꾸준히 투자를 해나가다보면 뭐 좋은 날 오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