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IRP 장단점 간단정리

by 대일이야 2022. 9. 15.
반응형

 

 

IRP 장단점 간단정리

 

2022년도 3개월 하고 절반 정도 남았네요.

직장인분들이라면 미리미리 연말정산 계산기 두들겨봐야할 시점 아닐까 싶습니다.

 

연말정산과 관련하여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만,

인적공제 등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실효성 있는 것은 IRP가 유일무이한 수단 아닐까 생각됩니다.

 

 

투자와 절세, 두 가지 효과를 모두 누릴 수 있는 것이 바로 IRP인데요,

간단히 이야기해보면,

irp 계좌 개설 이후 1년 내에 700만원 입금하여 원하는 etf, 펀드, 리츠 등을 매수하는 등

투자를 진행함과 동시에

연말정산 진행 시 최대 약 110만원에 달하는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IRP 장단점 간단정리

 

IRP =  개인퇴직연금의 최대 장점은 투자와 절세,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다는 점.

IRP 계좌 개설 후 해당 계좌에 입금하는 것 만으로

연말정산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세액공제 혜택은 1년 최대 700만원까지, 약 15% 내외 = 100만원 내외.

 

IRP 계좌에선 매매가 가능하다.

일반 주식 계좌 처럼 모든 종목을 자유롭게 매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대표적이고 안정적인 상품군은 대부분 매수할 수 있다.

 

*말마따나 퇴직연금으로 활용될 자원인데 곱버스 풀매수 갈기고 지옥 가즈아ㅏㅏㅏㅏㅏㅏㅏ외칠 형누님들 계심?

 

직장인이라면 피해갈 수 없는 연말정산에서 15% 내외의 확정 수익을 거두고,

추가로 ETF, 펀드 등에 기깔나게 투자해서 투자 수익까지 거둔다면?

이보다 더 알차게 내 자산을 불려나갈 수 있을까?

 

 

이렇게만 이야기하면

IRP 왜 안함, 왜 지금 얘기해줌,

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음.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법.

 

 

IRP 단점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해보면,

 

세액공제 혜택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내가 IRP계좌에 700만원 전부 입금했다 하더라도

내 결정세액 등이 환급액에 못미친다면 100만원 전액 환급받을 수 없다.

어디까지나 내가 납부하고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 내에서 진행되는 부분임.

 

 

IRP계좌에 들어간 돈은 55세 이후 연금으로만 수령 가능.

중간에 목돈이 필요해서 해지하고 인출할 경우

그동안 받은 혜택 모두 반납하고 인출해야한다.

=> 어설프게 할 바에야 안 하는게 나음.

 

 

매매 가능한 종목의 수가 제한되어있다.

=> 레버리지 ETF 등 당연히 거래 불가,

추가로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의 비율을 지켜야하는 등의 제약 조건들이 많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IRP - 개인퇴직연금 - 퇴직 이후 활용할 자원인데

곱버스 풀베팅하는 형누님들 안계시져?

 

 

2022년도 연말정산에서 IRP를 최대치로 활용하고 싶다면,

2022년 연말정산 전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해 본인 결정 세액 등을 파악하고

이에 맞게 계산기를 두들겨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 한도 금액을 찾아본 뒤

이에 맞게 IRP 계좌에 12월 31일 오후 4시 이전까지 입금하면 되겠다.

 

 

이런거 조금 머리아프고 그냥 나는 연말정산 때 토해내는거 기분나쁘다,

IRP 계좌 개설 후 매 년 12월 31일 오후 4시 전 까지 700만원 입금하기 하심 됩니다.

 

 

IRP 장단점 한 줄로 정리하면 간단하다.

700만원 맡기면 100만원 줄께,

대신 700만원 원금은 55세 이후에 찾아가.

 

지금 당장 700만원이 더 중요하다 - IRP 안하면 됨.

지금 당장 700만원 급하지 않아, 절세, 투자, 노후대비 좀 해볼까 - IRP 관심 가져보면 좋을 듯.

 

 

 

연말정산 IRP 세액공제

좌 : 22년 8월 잔고                                                              우 : 22년 9월 잔고

 

 

나는 연금저축펀드 400만원 + IRP 300만원, 도합 700만원으로 운영을 해나가고 있으며,

IRP의 경우 매 달 25만원씩 (25만원X12개월=300만원) 꾸준히 납입하고 있으며,

납입한 금액으로 배당주 신한알파리츠, ESR켄달스퀘어리츠, 두 종목을 매수해나가고 있다.

 

두 종목을 고른 이유는 별 다른 이유 없음.

두 종목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자산군들을 내 눈으로 직접 봤기 때문.

 

 

 

ESR켄달스퀘어리츠의 2분기 배당금이 지난주에 입금됐다.

9월 8일 입금금액은 2.4만원 가량.

IRP 계좌 내에서 발생한 배당금은 인출이 불가능하기에

이 역시 재투자로 활용,

지금 당장 계좌에 마이너스가 찍혀있지만,

덩치가 더 커지고나서 양전해야 1%의 수익률이라도 더 수익금이 커지는 법,

 

아무쪼록 당분간 장이 계속 골골대는 상태가 유지되어

보다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많이 주어지면 좋겠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dc형 중도인출 간단정리  (0) 2022.09.29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간단정리  (1) 2022.09.23
삼성전자 주가 예상  (1) 2022.09.06
미국 ETF 적립식투자 19개월 차  (1) 2022.09.05
연금저축펀드 ETF  (3) 2022.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