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dc 위험자산 투자비율
퇴직연금 dc의 경우 각종 안전장치(=제한사항)들이 있습니다.
은퇴 이후의 삶을 책임질 노후 대비용 자산군이기에 어찌보면 필수적인, 안전벨트와 같은 요소라고 봐주시면 되구요.
간단히 정리해보면 퇴직연금 dc의 경우 일반 종목 매매 불가능, etf 매매 및 펀드 투자만 가능, 레버리지, 각종 파생상품 결합된 etf 역시 불가능, 그리고 위험자산 투자비율 70%를 넘길 수 없다는 점 등이 되겠네요.
위험자산이란 예금, 채권 관련 etf 및 tdf를 제외한 모든 상품이 위험자산이라고 봐주시면 되구요.
몰빵투자하지말라고 미리 알려주는거에요. 너무 노여워하지마세요.
퇴직연금 dc 위험자산 투자비율
퇴직연금dc 계좌를 이리저리 훑어보면 이상한 안내메세지 하나를 볼 수 있다.
바로 위험자산 투자비율,
위험자산 투자한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긴하지만 아무쪼록 요지는 계좌 내 자산 중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비율은 70%까지라는 점.
퇴직연금 내에서 예수금 및 채권 관련 ETF, 그리고 tdf 등의 몇몇 펀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상품은 다 위험자산이다.
그러니까 퇴직연금dc 계좌에서 내가 원하는 ETF를 있는 돈 100% 풀매수할 수 없다는 점.
장이 좋을 때야 `이딴 안전장치 왜있어, 짜증나, 나머지 30% 더 매수했으면 버는 돈이 얼마인데, 내가 알아서 잘 할건데`
등등 정말 오만가지 생각이 다드는데,
하락장 한 번 제대로 뚜드려맞으면
`현금도 종목이지 맞지, 계좌 널널하게 운영하는거 중요하지`
감사합니다 수 백 번 외쳐도 모자를 만한 상황이 오게 됨.
아직 경험못해봤으면 앞으로 해보면 된다.
경제는 결국 우상향한다고하지만 일직선으로 간다고는 안했음, 그 사이사이에 있는 굵직한 파동들이 얼마나 매운지 한 번 맛보길 바람.
퇴직연금dc 위험자산비율 상향
퇴직연금dc의 경우 계좌 내 위험자산 비율 70%를 넘길 수 없다고 했음.
애초에 계좌 내 위험자산 비율이 70%가 되는 순간 위험자산은 모두 매수 불가능함.
계좌에 예수금이 두둑하게 있어도 매수가능금액은 0원으로 나옴.
왜?
위험자산비율이 70%가 됐으니까.
만약, 이 상태에서 내가 매수해뒀던 ETF 가격이 더 오르면?
내가 보유하고 있는 위험자산(=ETF)의 계좌 내 비중이 높아질거고 알아서 72%, 75%, 이런식으로 비중이 늘어날 것 아님.
그냥 그렇게 됨.
그게 끝임.
모종의 이유로 계좌 내 위험자산비율이 70%를 초과하면 초과했다고 문자, 카카오톡, 전화 등이 온다.
그냥 초과했다고 알려주는 것임.
70%가 넘으면 강제로 매도된다거나, 매도를 해서 70% 이하로 떨어뜨려야한다던가, 뭐 이런 의무사항 없음.
그냥 70%를 초과하면 매수를 못할 뿐이고,
앞서 매수해뒀던 것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비중 초과는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지.
퇴직연금dc 위험자산 관련 안전장치를 처음 접하면 사실 짜증날 것임.
아니 왜? 안그래도 살 수 있는 종목도 제한되어있는데 이런 규제까지 더해진다고?
이걸로 뭐하라는거야?
이러한 공격적인 태도는 찐득한 하락장을 한 번 맞이해보면 알아서 고쳐진다.
아니 고치고 자시고 할게 아니라 애초에 퇴직연금dc 위험자산투자비율 상향 이런 기능이 존재하지 않음.
님이 얼마를 갖고 있건 어떻게 요청하건 이건 고쳐줄 수 없는 부분임.
꼬우면 뭐, 일반 주식 계좌 터서 마음대로 매매하면 되는거고,
이건 퇴직연금dc 계좌니까 하라는대로 하면 되는 것임.
님이 일반주식계좌에서 곱버스를 풀매수하건, 개잡주 풀미수 스캘핑을 하건 뭘하건 아무도 뭐라고 안함.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ETF SPY 적립식투자 30개월 수익률 (0) | 2023.08.21 |
---|---|
삼성전자 차세대 먹거리 로봇 (0) | 2023.08.11 |
irp etf 투자 관련 간단정리 (1) | 2023.07.31 |
연금저축펀드 ETF (0) | 2023.07.26 |
삼성전자 테슬라 자율주행칩 생산 간단정리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