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개인퇴직연금(IRP) 운영 시작
미래에셋증권에서 개인퇴직연금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3월 키움증권을 통해 연금저축계좌를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이번 7월에 IRP까지 개설하게 됐네요.
저는 연금저축펀드에 400만원, IRP에 300만원, 이렇게 연간 700만원만 맞춰 운영할 생각이며 여윳돈은 연금계좌가 아닌 일반계좌에 넣어 굴려볼 생각입니다.
미래에셋증권 IRP 안전자산
![](https://blog.kakaocdn.net/dn/cenWEy/btq9lneGU0K/7qluF7dLeMOoes7KsOKlNk/img.jpg)
키움증권에서 연금저축펀드를 운영하고, 미래에셋증권에서 개인퇴직연금을 운영하기로 했다.
큰 차이는 없지만 한 곳에 몰아두고 관리하면 더 편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 연금저축계좌를 미래에셋으로 옮겨볼까도 싶었지만 옮기려면 키움증권 연금저축계좌 내의 상품을 모두 매도하고 해당금액을 옮기는 방식이기에 그냥 그대로 두는걸로.
IRP의 경우 투자가 상당히 제한되어있음.
이를테면 자산의 30%는 무조건 안전자산에 투자해야하고, 나머지 70%만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음.
위험자산이라고 해서 뭐 코인이나 선물, 레버리지 상품이 아니라 주식을 이야기함.
주식 = 초고위험 투자상품임.
코인에 비하면 노잼인거 맞지만 아무튼 그러함.
본디 IRP에 큰 관심이 없었지만 리츠도 매수가 가능하다기에 관심을 갖고 계좌를 개설하게 됐으며, 앞으로 꾸준히 운영해나갈 생각이다.
안전자산의 경우 다양한 상품이 있는데 나는 TDF 시리즈에 관심을 갖고 있다.
TDF에 대해서 이것 저것 알아보고 있으며 아직 최종결정을 내리지 못해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음.
IRP : 안전자산 30%, 위험자산 70%로 구성할 수 있음.
미래에셋증권 기준 안전자산/위험자산 구분은 투자한도로 구분할 수 있다.
안전자산 : 투자한도 100%, 위험자산 : 투자한도 30%, 70% 표기.
개인퇴직연금 리츠 투자
![](https://blog.kakaocdn.net/dn/brG9ZU/btq9gpkg5yi/6LiIXuKzic5JJxUYkrPw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8uA1/btq9fVX2Tvh/JKJt1SNcoGOqIgSsHIr3Kk/img.jpg)
미래에셋증권 개인퇴직연금 또한 적립식 매수로 진행할 예정.
올해 300만원을 입금해야하는데, 2021년은 6개월이 남아있으니 매 달 50만원씩 입금해 ETF 및 리츠에 투자할 생각이다.
IRP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리츠 매매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물론, 맥쿼리인프라만 70%까지 투자가 가능하고, 나머지 리츠들은 모두 투자한도가 30%로 제한되어있음.
일단 신한알파리츠와 ESR켄달스퀘어리츠를 30%씩 담아봤고, 남아있는 10%를 어떻게 처리할까 하다가 KINDEX 베트남 VN30을 담아봤다.
IRP에 어떠한 종목을 담을지는 좀 더 고민해봐야겠다.
맥쿼리를 비롯해서 고배당 ETF 등을 살펴보고 계산기를 두들겨 봐야겠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적립식 투자 6개월차 (0) | 2021.08.03 |
---|---|
미래에셋 퇴직연금 안전자산 TDF 2050 매수 (3) | 2021.08.01 |
키움증권 연금저축펀드 5개월차 (0) | 2021.07.09 |
삼성전자 주가전망 및 시가총액 (0) | 2021.07.06 |
QQQ 장기투자 해도 될까 (0) | 202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