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내생각151

직업 고르는 법 직업 고르는 법에 대해 결론부터 이야기해보자면 본인이 원하는 직업을 고르는게 응당 맞겠다만, 본인이 원하는 직업이 없다면 본인이 원하지 않는 직업은 제외하고 나머지 중에 고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그러니까 내향적인 사람은 적어도 영업직 같은 것은 필히 제외하거 나머지 직업들 중 하나를 골라야할 것이고, 외향적인 사람은 생산직 같은 직업군은 꼭 피해주는 것이 좋겠다. 내게 가장 잘 어울리는 옷을 입는게 응당 좋겠다만, 잘 어울리는 옷을 입을 수 없다면 적어도 나에게 어울리지 않는 옷은 피하는 것이 맞는거지. 그리고 컨셉을 확실하게 가져가되 유연한 사고 또한 필요하다. 이게 무슨 반반무마니 같은 소리겠냐만은 코로나 전후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하면 단연 사업과 투자에 대한 인식임. 코로나 이전 .. 2024. 3. 20.
시간은 금이다 시간은 금이다. 한 번 지나간 시간은 그 어떤 방법으로도 다시 되돌릴 수 없다. 그러니까 하루에 내게 주어진 24시간을 어떻게 해서든 효율적으로 사용해라, 출퇴근길에 자거나 유튜브 보면서 시간 때우지말고 책 읽어라, 제2외국어 공부해라 뭐 이딴 소리를 하려는게 아님. 보다 인생을 크게 놓고 바라봤을 때 어쨌거나 우리는 모두가 다 늙게 된다, 지금이야 진로, 취업, 승진, 매출, 결혼, 집 등 매우 현실적인 문제들이 눈 앞에 있어서 이거에 몰두하며 달려나가기 쉬운데 결국 이 모든 문제들을 다 해치우고 나면 노후라는 것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임. 노후? 그거 돈만 있으면 다 되는거 아님? 응 아니야. 사람의 취향, 취미 따위의 것들은 단순히 돈을 때려붓는다고 완성되는 것이 아님. 이게 돈으로 된다라고 생각한다.. 2024. 3. 11.
할까 말까 고민될 때 할까 말까 고민될 때 내가 가장 우선시 생각하는 것은 바로 재미있는가, 흥미로운가. 재미있을 것 같다, 흥미로울 것 같다 싶으면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 선택이라는 것은 필히 아쉬움을 남기고, 그렇기에 세상에 완벽한 선택이라는 것은 없다. 보통은 능력이나 돈 등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서 내가 A와 B 중에 고민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현실이 싫다 라고 생각하기 마련인데 절대 그렇지 않음. 능력이 더 좋고 돈이 더 많았으면 A와 B가 아니라 그 윗 급에 자리하고 있는 C와 D를 고민하게 된다. 그러니까 선택해야하는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하지 말자. 그래봤자 스트레스만 더 받으니까. 이를테면 물건 구입의 경우 나는 꼭 필요한 물건이 아니더라도 흥미가 당기면 구입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재미있을.. 2024. 2. 26.
훈수 조언 차이 선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남들 눈치 볼 것 없고 다른 사람들이 이래라 저래라 하는 되도안한 훈수 무조건 신경 끄고 내가 생각했을 때 맞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라, 조언을 구하고자 한다면 올바른 대상을 찾아가서 조언을 구해라. 훈수와 조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그냥 사전적 정의만 보면 단번에 이해가 간다. 조언 : 말로 돕거나 깨우쳐주는 것, 또는 그 말. 조언을 구하는 것을 자문, 조언을 하는 자를 고문이라고 한다. 훈수 : 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줌. 기본적으로 조언은 누군가를 말로 돕거나 깨우쳐 주는 것이다. 깨우치는게 아니라 깨우쳐 주는 것이다. 중요해서 세 번 반복해서 이야기하는데 깨우쳐 주는 것이다. 그러니까 조언은 나보다 더 경험이 많은 누군가.. 2024. 2. 5.
반응형